청년나우 허창영 편집장 | 2월, 학생들의 새 학기 준비가 한창이다. 신입생 관련 다양한 행사들이 진행되고, 기존의 재학생들도 학교생활을 시작하기 이전 새로이 마음가짐을 정비하는 시기이다. 현재 학교에서는 학생회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다. 하지만 학생사회에서 신뢰감이 기반이 돼야 할 학생회가 최근 위기를 맞고 있다. 경북대학교에서는 3년 연속 총학생회가 부재하고, 영남대학교에서는 최근 반대표가 80% 가까이 이르며 후보가 낙선되는 일도 벌어졌다. 각종 대학생 익명 커뮤니티에서 학생회를 일방적으로 비방하는 게시글을 찾는 것도 어렵지 않다. 이에 청년나우는 지난 20일 15시 대구시 중구 남산동에 위치한 청년나우 사무실에서 <나우;회담>을 개최해 김경은(22) 2022학년도 경북대학교 경상대학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이주엽(24) 2021학년도 영남대학교 수학과 학생회 취업설계부장, 여종상(24) 2020학년도 계명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기획부장을 초청해 학생회 위기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학생회가 부재한다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나? 그러한 원인은 무엇인가? 김경은(이하 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는 전반적인 방향성에 대한 고민을 학생회보다는 덜 하게 된
청년나우 허창영 편집장 | 세기형 연계정책을 연구하고 있는 평택미래세대연구소의 초대 소장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이하 한국외대) 오서인 총학생회 기획국장이 선임됐다. ▲평택미래세대연구소 오서인 초대 소장 평택미래세대연구소는 오서인 기획국장의 초대 소장 선임에 대해 “지역정책 연구뿐만 아니라 연구소에서 기획하고 있는 미래세대 정책 경진대회의 기획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 밝혔다. 오 소장은 “초대 연구소장으로서 경진대회 기획뿐만 아니라 2017년 및 2018년 경기도 광주시 청소년의회 정책제안상을 수상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정책 연구 또한 성실히 할 것”이라 말했다. 한편, 평택미리세대연구소는 지역 청년들을 중심으로 온·오프라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통을 통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고, 청년 세대들이 겪는 다양한 문제들을 개선하는 목적에서 설립됐다. 또한 젊은 층의 생각을 통해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되는 정책을 끊임없이 연구하고 제안한다.
청년나우 허창영 편집장| 지난달 25일, 대구광역시청년센터(이하 청년센터)는 청년들의 안정적인 지역정착과 지역 활력도모를 위해 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의 시작을 알렸다. 청년센터는 해당 사업을 통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청년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여러 활동을 지원한다. 해당 사업을 통해, 청년공동체는 800만 원 상당의 과업수행비를 지원받는다, 또한 성과공유회, 각종 네트워크 행사를 통해 단체 역량강화와 공동체간 교류를 할 수 있다. 한편, 해당 사업은 대구지역에 거점을 두고 활동하는 19세 이상 39세 이하 5명 이상으로 구성된 청년공동체 10개 팀을 대상으로 모집하며,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5일까지 청년센터 및 젊프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이메일(dgyc1939@daum.net)로 접수해야 한다. 선발된 청년공동체는 다음달 15일까지 법인을 설립하거나 해당 공동체명으로 고유번호증을 발급받아야 하며, 소재지가 대구광역시인 경우만 인정된다. 최종 선발된다면, 다음달 17일부터 11월까지 활동하게 된다. 대구광역시 청년센터 노동욱 활동지원팀장 인터뷰 Q. 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은 어떤 사업인가? 청년들의 안정적인 지역 정착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