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태양광 기술 제조 업체 론지 솔라(LONGi)가 11월 2일 글로벌 분산형 발전 소비자 시장을 위해 새 모듈제품 Hi-MO 6를 출시했다. 론지 솔라(LONGi)의 고효율 HPBC 셀 기술(HPBC cell technology)을 사용한 Hi-MO 6모듈은 양산하면 최대 효율 22.8%를 달성했다. 다원화 고객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설계된 Hi-MO 6는 탁월한 효율성, 안전성 및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 기술 혁신을 통한 발전 효율 향상 HPBC (Hybrid Passivated Back Contact)는 전면에 버스바(busbar-free)가 없는 디자인으로 독특한 차세대 고효율 태양광전지 기술이다. HPBC 셀 기술은 셀(cell)의 내부 구조를 조정해 셀의 태양광 흡수 및 태양광 전력 전환 기능을 크게 향상할 수 있으므로 모듈의 출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HPBC 셀 기술을 탑재된 모듈은 고온 및 저방사(low-irradiation) 조건에서 더 많은 양의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우수한 파워 열화(power degradation) 성능을 제공한다. 론지 솔라(LONGi) 연구팀은 주거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JW중외제약은 중증 A형 혈우병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헴리브라(성분명 에미시주맙)'의 Real-World data (실제임상자료) 연구에서 출혈 감소 효과를 확인했다고 지난 3일 밝혔다. 한승민 연세대 의대 교수는 9월 30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열린 '제41차 한국혈전지혈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국내 중증 A형 혈우병 환자 대상 헴리브라 투여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해외 연구에서는 헴리브라의 출혈 감소 효과가 입증된 바 있지만, 국내 환자 실제 처방 데이터(real world data)로 헴리브라의 출혈 감소 효과를 입증한 연구결과는 이번이 처음이다. 한 교수팀은 강동경희대병원, 계명대 동산병원 등 국내 4개 혈우병 진료 전문 의료기관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대상은 기존 혈우병 치료제에 내성을 가진 중증 A형 혈우병 환자 중 6개월 이상 헴리브라를 투여한 15명이다. 연구 결과, 헴리브라 투여 후 연평균 관절 출혈 빈도(AJBR, Annual Joint Bleed Rate)는 소아와 성인 각각 0.48, 0.90을 기록했으며 성인의 66.7%, 소아의 50.0%가 출혈을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LG전자가 유망 스타트업과 함께 B2B 사업의 신성장동력 발굴과 육성에 나선다. LG전자는 지난 2일 서울 마곡 사이언스파크에서 한국무역협회(KITA)와 함께 B2B 사업에 특화된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선발,지원하는 '비즈노베이터(Biznovator) 2022'의 사업화 검증 성과를 발표했다. LG전자는 4월 공개 모집 이후 두 차례 심사를 거쳐 △아이시냅스 △아고스비전 △인바이즈 △와트 △마인드아이 △바이오센스텍 등 6개의 파트너사를 최종 선발했다. 이후 해당 분야 및 신사업 육성 전문가를 투입해 LG전자가 보유한 기술 및 노하우를 제공하며 이들과 사업화 검증(PoC, Proof of Concept)을 진행해왔다. LG전자는 이번 사업화 검증 성과 발표를 기반으로 파트너사와 공동 연구를 해나갈 예정이다. LG전자는 비즈노베이터 프로그램을 통해 발굴한 유망 스타트업과 함께 △ID(사이니지, 상업용 TV 등) △IT(모니터, 노트북 등) △로봇 등 B2B 사업 분야에 기존에 없던 '고객경험'을 강화하는 개방형 혁신 활동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LG전자가 선발한 스타트업 '아이시냅스'는 근거리 통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메모리 솔루션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 키오시아 주식회사(Kioxia Corporation, 이하 키오시아)가 대용량 스토리지를 활용한 AI 기술인 메모리 중심 AI 기반 이미지 분류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외부 대용량 스토리지에 저장된 지식을 참조하는 신경망을 사용해 이미지를 분류하며, 그 결과 신경망의 가장 큰 문제점인 '치명적 망각(catastrophic forgetting)'을 방지하고 현재 지식의 손실 없이 지식을 추가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기술 개발 발표는 10월 25일 텔아비브에서 열린 컴퓨터 비전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대회 '2022년 유럽컴퓨터비전학술대회(ECCV 2022)'의 구두 세션에서 이뤄졌다. 기존 AI 기술에서 신경망은 '가중치(weight)'라는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해 지식을 습득하는 훈련을 거쳤다. 훈련을 모두 마친 후에 새로운 지식을 얻으려면 신경망을 처음부터 다시 훈련하거나 새 데이터를 사용해 미세 조정해야 한다. 전자의 경우에는 엄청난 시간과 에너지 비용을 투자해야 하지만, 후자는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해야 하고 이전에 습득한 지식을 잃어버리는 치명적 망각 문제가 발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승수)는 업계에서 밀도가 가장 높은 직렬 F-RAM인 새로운 8Mb 및 16Mb EXCELON™ F-RAM 메모리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8Mb 및 16Mb EXCELON F-RAM (Ferroelectric RAM) 메모리는 차세대 자동차 및 산업용 시스템의 비휘발성 데이터 로깅 요구를 충족해 가혹한 동작 환경에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한다. 새로운 메모리는 1.71V~3.6V의 넓은 전압 범위로 동작하고, 로우 핀 카운트(LPC)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최대 54MBps 데이터 쓰루풋을 지원하고, RoHS 규격을 준수하는 24볼 FBGA 패키지로 제공된다. 인피니언 오토모티브 사업부의 라메시 체투베티(Ramesh Chettuvetty) RAM 제품 라인 책임자는 '자동화가 가속화되고 커넥티드 센서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데이터 로깅 요구 사항으로 전원 중단 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즉시 수집할 수 있는 고밀도 메모리가 필요하게 됐다'며 '인피니언의 새로운 EXCELON F-RAM 제품은 초저전력 동작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미션 크리티컬 데이터 수집을 위해서 뛰어난 성능과 신뢰성을 제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텔레다인르크로이(지사장 이운재)는 CAN XL® 트리거, 디코딩, 측정/그래프 및 아이 다이어그램(TDME) 오실로스코프 소프트웨어 옵션을 추가해 사용자가 ECU (자동차 전자 컨트롤 유닛) 및 10Mb/s 차량 내 네트워크(IVN) 설계를 테스트, 검증 및 디버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오늘날의 차량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직렬 데이터 신호를 사용하는 IVN에 의해 연결된 100개 이상의 ECU를 포함할 수 있다. 자율 주행 기술에 사용되는 레이더, 라이더, 카메라 및 기타 센서 데이터와 같은 여러 요인으로 IVN에서는 더 많은 데이터 용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네트워크 분산 시스템으로 동작하는 차량 전기화 추세로 안전, 시스템 효율성 및 이동성을 개선하기 위한 커넥티드 차량 기술이 출현하고, 이에 대응해 차량 제조업체는 기존 도메인 기반 IVN 아키텍처를 더 빠른 속도에서 동작하도록 새로운 환경에 따르고 있다. 예를 들어, 500kb/s의 CAN (Controller Area Network) 및 2Mb/s의 CAN FD (CAN Flexible Data-rate)는 CAN XL 지정 속도인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비상장 기업 투자 플랫폼 오픈트레이드가 비상장 기업 정보와 벤처 캐피털(VC)들의 투자 이력을 담은 '비상장 허밍버드' 베타 서비스를 론칭했다. 오픈트레이드는 비상장 허밍버드를 통해 올 7월 일반 투자자 보호 조치로 거래 가능 비상장 종목이 줄어든 일반 투자자들을 포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비상장 허밍버드 오픈 베타 서비스는 비상장 투자자가 투자를 결정할 때 핵심적으로 참고하는 △투자 유치 이력 △서비스 성장세 △IPO 추진 현황 △재무제표 △주주 구성 △임원 약력 △언론사 뉴스 △공시 등을 제공한다. 또 새로운 투자처를 탐색하는 이들을 위해 성공적으로 엑시트(투자 후 출구 전략으로 일반적으로 상장, 인수 합병, 매각 등이 있음)한 스타트업에 투자했던 전문 벤처 캐피털의 △AUM(총관리 자산) △피투자 기업 △총투자 기업 수 △연혁 등을 소개한다. 특히 사용자가 설정한 서울시 내 거래 선호 지역과 주거래 증권사를 기반으로 가까운 증권사 객장 330여곳을 안내하는 것이 특징이다. 비상장 기업의 주주, 기업 임직원과 소비자 등 다양한 이해 담당자들이 자율적으로 의견을 교환해 공시를 대체할 수 있는 커뮤니티 라운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산소호흡 기술 전문기업 샐릭스가 1일 DGIST (총장: 국양) 에너지공학과 인수일 교수 연구팀과 산소호흡기용 이산화탄소 흡착제 개발을 위한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하철 역사, 백화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유독가스를 차단하기 위한 산소호흡기 내부에 들어가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개발하며, 호흡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억제해 탈출 및 구조 전까지의 생존 유지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소재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다. 행사에는 샐릭스 이성우 대표와 DGIST 에너지공학과 인수일 교수 연구팀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다양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에 대한 강연과 구체적인 연구 수행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연구 사업을 통해 △인체에 무해한 이산화탄소 흡착제 소재 개발 △흡착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흡착제 교환 시스템 개발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포함된 호흡기를 활용한 탈출 시스템 개발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DGIST 에너지공학과 인수일 교수는 '화재 사고는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기에 완벽한 대비가 중요하다. 충분한 탈출 및 구조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알고랜드(Algorand)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축된 피파 플러스(FIFA+)의 공식 디지털 수집품 플랫폼인 피파 플러스 콜렉트(FIFA+ Collect)가 2022년 FIFA 월드컵 카타르(FIFA World Cup Qatar 2022™)에 참가하는 축구 팬들을 위한 특별 VIP 경험 경품을 공개했다. 11월 20일까지 웹사이트(www.fifapluscollectgowin.com)에서 '소유하고, 우승하고, 생생하게 경험하기(Own It, Win It, Live It)' 프로그램 참가 신청이 가능하다. 각 VIP 경험 당첨자에게는 왕복 항공권, 세인트 레지스 도하(St. Regis Doha)에서의 고급 숙박권, FIFA 월드컵 8강전 관람표 2매, 경비 500달러, FIFA 및 피파 플러스 콜렉트 수집품이 포함된 기념 선물 바구니 등이 포함된 4박 5일 무료 도하 여행이 경품으로 제공된다. 당첨자는 매주 무작위로 선정된다. FIFA의 92년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스포츠 사건을 소개하는 디지털 수집품 팩을 구매하면 참가 기회를 얻을 수 있다. 팩 1개를 구매할 때마다 자동으로 1회의 참가 기회가 주어지고 추가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유통전문기업 hy가 9월 누계 기준 총 125톤의 플라스틱을 감축했다. hy는 연내 200톤 이상의 플라스틱을 줄일 계획이다. hy는 지속 가능 경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을 위해 사업 전반에 친환경 정책을 적용하고 있다. 1월 사내 전담팀을 구성하고 플라스틱 재활용, 탄소 발생 감소 등을 추진 중이다. 먼저 용기 개량을 통해 플라스틱 사용량 저감 효과를 거뒀다. '쿠퍼스', '메치니코프' 등 6개 제품을 경량화했다. 용기 두께는 줄이고 일부 제품의 뚜껑을 제거했다. 적용 제품은 점차 확대한다. 금호석유화학과 함께 폐플라스틱 재활용도 본격화했다. 지난달까지 106톤가량을 재활용했다. '야쿠르트 라이트' 용기 기준 약 3028만 개 분량이다. 별도의 공정을 거쳐 냉장고 등 가전제품 부품 소재로 공급하고 있다. 절감한 비용은 홀몸노인, 다문화 가정 지원에 사용한다. hy는 탄소 배출 억제에도 기여하고 있다. 전기로 구동하는 냉장 전동카트 '코코' 1대의 월평균 이동 거리는 450km 하루 평균 이동 거리 18km다. 내연기관의 경우 같은 거리를 움직인다. 1086톤 한국기후,환경 네트워크 탄소발자국 계산기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게이머들이 게이머를 위해 구축한 게임 최적화 친환경 블록체인 오아시스(Oasys)가 일본 내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 발전 및 성장을 위해 블록체인 게임 길드인 YGG Japan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오아시스와 YGG Japan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게임 개발사들이 일본 게이머들을 겨냥할 수 있도록 현지 시장 네트워킹 기회와 마케팅 리소스를 제공해 일본 내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이번 협업의 하나로 오아시스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게임 개발사들은 YGG Japan이 제공하는 마케팅 및 프로모션 서비스에 대한 우선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YGG Japan과 오아시스가 갖춘 광범위한 생태계를 활용해 추가적인 네트워킹 및 성장 기회를 갖게 된다. 오아시스 디렉터인 Daiki Moriyama는 '세계 3위 게임 시장인 일본은 관련 산업 발전의 기반이 잘 갖춰져 있다. 특히 일본 정부가 현지 Web3 인프라 구축에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어 블록체인 게임은 일본을 도약대로 삼아 전 세계적으로 성장할 엄청난 잠재력을 갖고 있다. 우리는 YGG Japan과 같은 강력한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우수기술연구센터협회와 한국전지산업협회가 지난 11월 1일 '2022 배터리 산업의 날'에서 '회원사의 개방형 상생협력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을 진행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협약 당사자로 우수기술연구센터협회 장승국 회장, 한국전지산업협회 정순남 부회장, 임석으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전윤종 원장이 참여했다. 이번 협약은 민간주도 배터리 생태계를 조성해 미래시장 선도 핵심 산업 촉진을 위해 유기적 업무 협조 체제 구축을 목적으로 마련됐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배터리 밸류체인 형성 및 미래시장 개척 지원 △회원사간 기술 공유를 통한 공동 협력모델 개발 지원 △양 기관 회원사의 성장을 위한 상호 간 지원 노력 △기타 협의에 따른 상생협력 지원 및 상호 협력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장승국 우수기술연구센터협회 회장은 '세계적 핵심전략 배터리 분야의 기업주도 개방형 협력을 통해 양 기관의 상생협력 체계가 구축돼 글로벌 배터리 산업의 경쟁력을 한층 높여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며 포부를 밝혔다.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정부가 독보적인 기술을 보유한 신산업 유망 스타트업 1000개 이상을 발굴, 민관 공동으로 5년간 2조 원 이상을 투입해 국가경제의 미래를 이끌 초격차 스타트업을 육성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3일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제11차 비상경제민생회의 후속조치로 '첨단 미래산업 스타트업 육성전략 발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이영 중기부 장관은 '첨단 미래산업 스타트업 육성전략 :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이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초격차 스타트업은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만한 독보적인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신산업 스타트업을 일컫는다. 정부는 기술과 환경의 전환기에 대응해 국가의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신시장 선점의 기회를 마련하고자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를 마련했다. 이를 통해 국가 경쟁력 확보에 반드시 필요한 10대 첨단 미래산업 스타트업에 핵심 지원수단을 과감하게 투입함으로써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동안 창업 지원 정책의 대상은 업력 7년 미만의 기업이었으나 올해 개정한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을 근거로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정부는 지난 3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자이언트 스텝'을 4연속으로 단행한 것과 관련해 '그 어느 때 보다도 높은 경계감을 유지하며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서울 은행회관에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과 북한 도발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미국 연준은 2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준금리를 종전 3.0-3.25%→3.75-4.0%로 0.75%p 올렸다. 네 차례 연속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p 인상)이다. 파월 미 연준 의장은 향후 긴축속도 조절 가능성을 시사하면서도 '금리 인상 중단은 시기상조'며 '최종 금리수준 또한 당초 예상보다 높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미 연준의 긴축기조 완화 기대감 축소에 따라 간밤에 국제금융시장은 미 주가 하락, 금리 상승, 달러화 강세로 마감했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이 향후 우리와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칠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그 어느 때 보다도 높은 경계감을 유지하며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공간 정보 산업 플랫폼 기업 웨이버스는 가상 공간 정보 전문 기업 아티젠스페이스와 지난 2일 '2022 스마트국토엑스포'에서 협업 부스를 마련하고, 확장현실(XR, eXtended Reality)을 활용해 실제 공간 데이터를 표출하는 '맵버스(Mapverse)'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웨이버스는 현실 공간 데이터 관리와 처리에 전문성이 있고, 아티젠스페이스는 메타버스와 증강현실에 특화된 전문 기술을 갖고 있다. 이에 양 사는 각 전문 분야를 융합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전시장 내 협업 부스를 설치하고, 맵버스 서비스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맵버스는 지도 'map'과 메타버스의 'verse'를 합친 명칭으로, 사용자는 확장 현실 속에서 상담을 통해 실제 공간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건물의 설계 결과 등을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다. 이는 부동산 개발과 경매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서비스로 2023년 봄에 공개될 예정이다. 김학성 웨이버스 대표는 '정보의 불균형으로 오는 피해가 고스란히 개인에게 전가되는 기울어진 시장에서 보다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해 개인이 손해 보는 일을 줄이고, 업체는 쉽게 정보를 취득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