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가급적 1.5℃ 이하로 제한하자는 파리협정의 본격적인 이행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COP27이 지난 11월 6일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에서 개막했다. COP(Conference of the Parties)란 지구 온난화로 인한 장기적 피해를 줄이기 위해 1992년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 Development)에서 체결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의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매년 개최하는 당사국들의 회의로, 기후변화협약 관련 최고 의사결정기구다. 당사국들이 협약의 이행방법 등 주요 사안들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일년에 1회 개최한다. 첫번째 COP는 1995년 3월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됐으며 2020년 코로나19로 개최되지 못한 것을 빼고는 매해 열리고 있다. 약자는 COP이다. 뒤의 숫자는 회차를 의미한다. '기후변화협약'의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현대글로비스가 동남아시아 핵심 국가 가운데 하나인 말레이시아 물류 시장에 진출한다. 현지 대기업과 전략적 협업 체제를 구축하고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공략 보폭을 더욱 넓힐 계획이다. 현대글로비스는 말레이시아 대표 기업 라이온 그룹(Lion Group)과 '글로벌 사업 및 스마트 물류 솔루션 분야 협업'과 관련한 양 사 간 전략적 파트너십(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국내 물류 기업과 처음으로 손을 잡은 라이온 그룹은 지난 11월 15일 서울 성동구 현대글로비스 본사에서 열린 협약식에 오너 일가인 세레나 쳉(Serena Cheng) 라이온 그룹 전무이사가 직접 서명권자로 나서며 협업의 무게를 더했다. 현대글로비스에선 박만수 스마트이노베이션 사업부장(상무)이 나섰다. 라이온 그룹은 철강 사업 외에도 유통, 부동산 개발, 농업 등 광범위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한 말레이시아 종합 대기업이다. 지난해 연매출은 30억달러(4조원) 수준으로 동남아를 비롯 중국, 미국 등 10여개국에 진출해 있다. 특히 아시아 6개국에서 82개점을 운영하고 있는 팍슨 백화점의 모(母) 그룹으로 알려져 있다. 라이온 그룹은 다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PC 케이스,쿨링 시스템,파워 서플라이,입력장치 및 주변기기 전문 업체 브라보텍에서 튜닝과 쿨링 퍼포먼스를 극대화한 두 가지 구성의 컴팩트 미들타워 PC 케이스, NZXT H5 시리즈를 출시한다. NZXT H5 시리즈는 전면 강화유리 패널로 탁월한 튜닝 퍼포먼스를 갖춘 H5 Elite 모델과 전면 타공 패널로 극대화된 쿨링 퍼포먼스를 제공하는 H5 Flow 모델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내,외부 일체감을 더한 Matte White 및 Matte Black 컬러 구성으로 NZXT 고유의 모던함에 시스템 구성에 따른 최적화 및 탁월한 튜닝을 구축할 수 있다. 이 제품은 스틸 소재 구성을 기반으로 설계돼 견고한 내구성을 갖췄으며 상단 2개의 팬 쿨러 또는 수랭 쿨러 지원, 하단 그래픽카드 전용 쿨링 팬 설계와 F120/F140 기반의 팬 쿨러가 기본 장착으로 강력한 시스템 쿨링과 튜닝의 맞춤형 선택지를 제공한다. 내부는 ATX 메인보드와 365mm 길이 그래픽카드, 200mm 길이 파워 서플라이까지 최신 프로세서 기반의 익스트림 시스템 빌드를 지원한다. 그뿐만 아니라 PCI 슬롯 커버를 수직 GPU 마운팅 키트(별매)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선도적인 데이터 인사이트 컨설팅 기업 칸타가 지속 가능한 제품과 관행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알아보는 '2022 지속가능성 섹터 지표' 연구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 결과 한국 소비자를 포함한 글로벌 소비자가 지속 가능성과 환경 의식적인 소비를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생활비 증가로 인해 이러한 소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칸타의 2022 지속가능성 섹터 지표는 전 세계 32개국 38개 산업군에서 3만300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신디케이트 연구조사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1만1000명의 소비자가 참여했다. 칸타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글로벌 지속 가능성 이슈는 '수질 오염', '아동 노동', '노동 착취'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시에 살거나 26세 이상인 소비자는 수질 오염이 가장 큰 이슈라고 여기고 있었다. 이런 응답은 미국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장 관심을 갖는 이슈인 아동 노동과 노동 착취는 유럽 소비자들에게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주로 농촌 지역과 25대 이하 소비자가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언리얼 엔진이 신규 업데이트로 그 혁신적인 기능이 더욱 강력해진다. 세계적인 게임 개발사이자 언리얼 엔진, 스토어 및 디지털 창작 생태계를 위한 모든 것을 제공하는 에픽게임즈의 한국법인 에픽게임즈 코리아(대표 박성철)가 모든 산업의 크리에이터들을 위한 신규 업데이트 및 향상된 기능이 추가된 언리얼 엔진 5.1 버전을 출시했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에픽게임즈는 4월 높은 자유도와 고퀄리티 그리고 유연성으로 누구나 차세대 리얼타임 3D 콘텐츠 및 경험을 제작할 수 있게 지원하는 언리얼 엔진 5를 출시한 바 있다. 이번 언리얼 엔진 5.1은 언리얼 엔진 5에서 선보인 혁신적인 기능을 바탕으로 그 성능이 더욱 강화되고, 높은 효율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업데이트가 진행됐다. 언리얼 엔진 5.1 버전은 △루멘, 나나이트, 버추얼 섀도 맵 업데이트 △개발자 효율성 향상을 위한 업데이트 △향상된 월드 툴 제작 △버추얼 프로덕션, 방송, 라이브 이벤트를 위한 업데이트 △애니메이션, 리깅 및 모델링 향상 등을 포함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더욱 강력해진 신규 기능 및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루멘, 나나이트,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자동차, 소비자 및 기업 고객을 위해 최고의 연결 기술을 공급하는 하만 인터내셔널(HARMAN International)의 현장감 있는 음향의 대명사 JBL 브랜드가 11월 17일(목)부터 20일(일)까지 부산 BEXCO에서 개최되는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2022(G-STAR 2022)의 공식 게이밍 헤드셋 브랜드로 선정, QUANTUM 시리즈의 무선 게이밍 헤드셋 및 무선 게이밍 이어폰 등 최신 게이밍 제품들을 선보인다. JBL QUANTUM시리즈는 JBL의 독자적인 알고리즘이 적용된 퀀텀 서라운드(QuantumSURROUND) 사운드로 게이머들과 크리에이터들에게 높은 몰입감과 정교한 서라운드 사운드를 제공한다. 유무선 헤드셋, 이어폰, 스피커, 마이크에 이르는 제품 라인업을 구축해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하고 있다. 지스타 2022의 공식 게이밍 헤드셋 브랜드로 선정된 JBL은 QUANTUM 시리즈 무선 게이밍 헤드셋의 최상위 모델인 JBL QUANTUM 910을 지스타 2022에서 선보인다. 지스타 2022 전시장 곳곳에는 JBL QUANTUM 910 무선 게이밍 헤드셋을 비롯한 다양한 QUANTUM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나의 음색에 어울리는 곡은 뭘까?', '내가 작곡한 곡을 잘 부를 수 있는 가수는 누구일까?', '대중들이 좋아할 만한 곡일까?' 등 가수 지망생과 창작자뿐 아니라 음원시장은 아직 개인의 주관적인 취향과 역량에 의존해 히트곡을 찾고 있다. 이에 인공지능 음악 개발사인 브레인데크는 AI 매칭 기반의 누구나 쉽게 나만의 곡을 찾을 수 있는 음악 창작 솔루션 '뮤스트(MUST, My Music Studio)'를 올해 12월 출시한다고 밝혔다. AI 곡-보컬 매칭 서비스 뮤스트는 AI 분석과 매칭을 동시에 제공하는 솔루션으로 창작자 개인의 곡에 맞는 보컬과 보컬의 음색에 어울리는 창작곡 매칭 솔루션을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브레인데크 정여름 대표는 '음원 장르 분류, 음악 추천 알고리즘 외 창작자 특성에 따른 추가 기능을 부여해 사용자 프로필 기반의 강력한 개인화 경험을 할 수 있다'며 '20만 건의 데이터셋 구축 완료로 더 정교화된 매칭 솔루션 제공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뮤스트에 업로드되는 모든 음원은 한국저작권보호원의 지원을 통해 DRM (디지털 저작권 관리) 음원 저작권 보호 솔루션이 적용돼 콘텐츠 복제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이하 센터)가 사회적경제 기업의 혁신적 아이디어와 제품을 선보이는 '서울 사회적경제 크라우드펀딩 기획전'을 11월 21일~12월 9일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와디즈에서 개최한다. 이번 기획전은 취약계층과의 동행, 지역과의 상생, 친환경적 자원순환 등 지속가능한 일상을 고민하는 사회적경제기업 10곳의 혁신적 제품을 소비자에게 소개함으로써 '알고보면 쓸모있는 가치소비'를 유도한다. 주식회사 서감도의 '모두의 문해력 애플리케이션과 학습지'는 느린학습자와 문해력 향상을 희망하는 사람들을 위해 마련됐으며, 도시형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해피팜협동조합은 새싹인삼 발효추출 기술로 만든 '오아초 O₂미스트'를 선보인다. 피스하나가 로컬상생 프로젝트의 하나로 마련한 제주 감귤 향기테라피 'PEACE9(피스나인)'도 주목할 만하다. 포장,패키지,특수인쇄산업의 집적지인 방산시장에 버려지는 자원 순환을 고민하는 사회적협동조합 카카토협동조합은 타이벡 소재의 '지구(Ji Gu B.) 에코백'을 선보이며, 스카이콜렉션은 자동차 시트 생산 후 남은 자투리 가죽을 활용한 '비뉴잇(BENEWIT)'을 통해 잉여자원을 수집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누비콤(대표 신동만)은 한국통신학회(회장 신요안), 미국 NI(대표 에릭 스타크로프(Eric Starkloff))와 6G 기술 및 정보 교류를 통해 상호 협력 방안을 탐색,강화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한국통신학회는 2021년 10월 영국 서리(Surrey)대의 5G/6G 이노베이션 센터(IC)와 공동 연구 협약을 맺은 데 이어, 2022년 1월에는 싱가포르 기술디자인대(SUTD)와 협약을 맺는 등 국제 공동 연구의 발판을 마련, 확대해나가고 있다. 협약에 따르면 한국통신학회는 6G 및 무선 통신 관련 주요 콘퍼런스 정보,활동을 NI,누비콤과 공유하고, NI와 누비콤은 6G 및 6G 로드맵(Roadmap) 관련 기술 및 솔루션을 학회 콘퍼런스에서 연구원들과 공유한다. 이 밖에도 올 9월 7일 설립된 NI, 누비콤, 연세대학교(한양대학교, 포스텍, 싱가포르 SUTD, 중국 칭화대학교 참여)의 6G 오픈 허브(Open Hub) 업무 협약(MoU)을 지원하면서 6G 연구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할 예정이다. 한국통신학회 신요안 회장은 '이번 MoU로 양국에서 6G 연구를 선도하는 연구 단체들과 기업 간 미래 6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보안 전문 소프트웨어(S/W) 기업 케이스마텍이 편의성, 보안성을 강화한 클라우드 형태의 HSM 서비스 'CloudKey'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 급변하는 클라우드 시장 아마존 AWS(Amazon Web Service), 구글 Google Cloud, 마이크로소프트 Azure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대표 클라우드 서비스다. 북미를 시작으로 해외 주요 기업들은 클라우드 전환을 마친 상태이며, 국내 역시 속속 클라우드로 전환을 추진하거나 이미 완료했다. 2021년 발표한 행정안전부의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 클라우드 전환 및 통합 추진 계획'에 따르면 2025년까지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이 운영 중인 정보 시스템 약 1만개는 클라우드로 전환,통합될 계획이다. 이제 클라우드로 전환은 필요가 아닌 필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런 전환에서 보안은 필수 요소이며, 이런 부분을 지원하는 장치가 'HSM (Hardware Security Module)'이라고 불리는 특수 장비다. HSM은 개인의 인증 키 또는 토큰 정보를 보관해 해킹 등에 따른 탈취를 원천 차단해 준다. 해외 클라우드 사업자들은 HSM 역시 클라우드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스마트 위치정보 서비스 기업 로보프렌(대표 김영식)은 복잡한 대형 복합 시설 안의 실시간 길 안내가 가능한 실내 내비게이션 '에그맵(egg map)'을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정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로보프렌은 에그맵 론칭으로 실내 경로 안내 서비스를 대형 복합 시설 시장으로 확장하는 첫발을 내딛게 된다. 에그맵 앱은 대형 복합 시설에서 실내 길 찾기부터 매장 정보까지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서비스이다. 최근 대형 복합 건물이 늘어남에 따라 건물 안에서의 길 안내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었지만, 기존 GPS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건물 안에서의 활용이 불가능하므로 자기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자체 개발 알고리즘을 통해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로보프렌의 위치 측위 기술은 별도의 장비 설치 없이 스마트폰만으로 쉽게 데이터 수집이 가능해 안정적인 실내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에 탑재된 다양한 센서,와이파이,블루투스 등을 활용하며, 건물 내의 자기장 데이터와 전파 데이터를 함께 분석해 실내 맵을 구축한다. 에그맵은 현재 서울 강남구에 있는 코엑스에서 서비스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의 대전창업열린공간(대전스타트업파크)이 21일 대전 오노마 호텔에서 '2022년 대전창업열린공간 데모데이'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대전창업열린공간은 이번 '대전창업열린공간 데모데이'를 통해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를 가진 예비, 초기 창업팀의 혁신성과 기술을 들여다보고 비전을 공유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데모데이에서는 △아이디어 △시장성 △성장성 등을 검토하고, 최종 선발된 10팀에 대해서는 △IR 피칭 참가 △투자 담당자,전문가와의 네트워킹 △Seed △Pre-Series A 투자 검토 △국내외 VC의 투자 연계 지원 △사업화 멘토링 서비스 지원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이번 2022년 대전창업열린공간 데모데이는 민간 주도형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필로소피아벤처스, 대덕벤처파트너스는 물론,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가 긴밀하게 협력해 진행할 예정이다. 김영진 대전시 창업진흥과장은 '아이디어와 기술을 가진 역량 있는 창업 기업이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주기를 바란다'며 '대전창업열린공간이 대전 기술 창업의 요람이 돼 창업 기업의 아이디어가 성공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시에서도 다양한 지원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KBS는 카타르 월드컵 기간에 방송과 5G 융합을 통해 전국 어디서나 난시청 없이 방송 시청이 가능한 디지털 융합네트워크 기술, 일명 이어도 서비스를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시범 운영 기간 동안 이어도 서비스에 대한 필드테스트와 모바일 수신 시연도 진행할 예정이다. 이어도는 KBS 미디어기술연구소에서 개발한 ATSC3.0(방송망)과 5G(통신망) 연결 기술로 '이어도 연결 허브'를 통해 방송과 통신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서로 연결해준다. 이어도를 이용하면 방송 난시청 위치에서는 통신망으로 자동 연결하여 전국 어디서나 난시청 없는 UHD/FHD/재난방송/부가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이어도 기술은 그동안 다양한 기술 시연과 필드테스트를 실시해왔으나, 카타르 월드컵과 같은 대형 라이브 이벤트 기간 시범 운영은 이번이 처음이다. 월드컵 기간에 제공하는 이어도 서비스는 난시청 위치에서 통신망을 통해 끊김없는 방송 시청과 재난경보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 난시청 위치에서 OTT(KBS my K)로의 자동 연결로 끊김없는 방송 시청이 가능한 서비스가 있다. 특히 이번 적용된 이어도 기술은 통신망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자동차 제작,수입사(제작사) 19곳이 재작년 판매한 '10인승 이하 승용,승합차'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이 125.2g/km로 기준(97 g/km)을 29%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16년부터 2020년까지 19개 자동차 제작사의 '자동차 온실가스 관리제도' 이행실적을 지난 16일 공개했다. 자동차 제작사는 연간 판매차량의 온실가스 평균 배출량이 그 연도의 온실가스 배출 기준에 적합하도록 자동차를 제작,판매해야 한다. 제작사가 온실가스 배출 기준을 초과 달성하면 그 초과달성분을 3년 동안 이월 또는 거래할 수 있고 미달성하면 그 미달성분을 3년 안에 상환해야 한다. 2012년(140g/km)부터 2020년(97g/km)까지 온실가스 배출 기준은 내연기관차들의 온실가스 감축기술 개발 유도에 중점을 두고 설정됐다. 또 지난해(97g/km)부터 2030년(70g/km)까지 온실가스 배출 기준은 내연기관차에서 무공해차로의 전환 유도를 핵심 목적으로 설계됐다. 이번 이행실적 분석 결과, 2016년부터 2020년까지 19개 전체 자동차 제작사의 '법적' 온실가스 평균 배출량은 2016년 1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등 주요 신산업 분야 우수 창업,벤처 딥테크 기업 300여곳이 모여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6~18일 강남 코엑스에서 '2022 신산업 스타트업 테크엑스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딥테크(Deep Tech) 기업은 과학,공학 기반의 원천기술이나 독보적인 기술을 집약해 사업 모델을 창출하는 고기술 기반 기업이다. 중기부는 신산업 분야 혁신기술을 보유한 창업,벤처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 지난 2020년부터 '혁신분야 창업패키지' 사업을 통해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분야 346개사를 선발, 기업특성과 성장주기를 고려한 사업화 자금,R&D,융자,보증,수출 등을 맞춤형으로 지원해 왔다. 이 중 2020년 선발된 250개사는 지난해 1조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지놈앤컴퍼니, 뷰노, 삼영에스엔씨, 진시스템, 넥스트칩,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등 6개사는 코스닥 상장을 완료했다. 또 자율주행 고정밀 지도 제작기술을 보유한 창업기업 '스트리스'는 카카오 모빌리티와의 M&A에 성공하기도 했다. 혁신분야 창업패키지 사업 지원을 받은 기업 중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