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DSM 엔지니어링 머티리얼즈(이하 DSM)가 하이브리드 차량 연료탱크 경량화 솔루션 개발을 위해 르노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하이브리드 차량 연료탱크 경량화 솔루션 개발에는 Akulon® Fuel Lock, 즉 DSM의 고성능 저탄소 발자국 PA6 소재가 사용된다. 이 소재를 사용하면 안전성을 저해하거나 추가 배출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 무게와 비용을 절감하는 블로우 몰딩 단층 구조로 연료 탱크를 제작할 수 있다. DSM의 Akulon® Fuel Lock 소재는 유럽연합 규정을 충족하는 데 필요한 낮은 투과성을 가진 경량의 단층 연료탱크를 만들 수 있다. 유럽연합 규정은 승용차의 경우 탄소 배출량을 최대 95g/km로 설정하고 있어, 연료 효율성을 최대화하려면 소재와 설계의 세심한 균형이 필요하다. DSM에 따르면 Akulon® Fuel Lock PA6 등급은 사출 또는 블로우 몰딩 및 압출용으로 설계됐으며, e-모빌리티 부문의 신속한 설계 혁신을 위해 매우 우수한 다목적성을 갖고 있다. 실제로 패리슨 안정성이 매우 높아 벽 두께 분포도를 매우 좁게 할 수 있으며, 고온 및 저온 모두에서 강력한 성능을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LG에너지솔루션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가 배터리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을 위해 산학 공동 협력 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지난 18일 LG에너지솔루션과 POSTECH은 'LG에너지솔루션-포항공과대학교 간 상호 협력에 관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체결식에는 LG에너지솔루션 CTO(최고기술책임자) 신영준 전무, 소형전지개발센터장 노세원 전무, POSTECH 김무환 총장, 김상우 산학협력단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 협약을 바탕으로 양측은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관련 R&D, 특허 등 지식 재산권(IP) 관련 역량과 POSTECH의 소재 분야 연구 성과, 정밀 분석 기술을 적극 활용해 차세대 배터리 혁신 기술을 개발하고, 배터리 전문 인재 양성에도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또 더 긴밀한 산학 협력을 위해 '배터리 혁신 연구센터'를 설립해 산학 연구과제 관리, 전문가 초청 세미나 및 공동학술 워크숍 개최 등 양측의 산학협력 관련 교류 활동도 꾸준히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과 POSTECH은 고속 충전 장수명 관련 전지 소재 개발, 고성능 전극 소재 및 공정 기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동부건설은 18일 500킬로볼트(KV) 초고압직류송전(HVDC)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T/L) 1공구 낙찰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총 공사비는 약 516억원이며, 동부건설이 58%의 지분으로 주관사를 맡는다.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 건설사업은 정부의 9차 전력수급 계획에 따라 동해안과 수도권의 안정적인 전력계통 연결을 위해 진행되는 사업이다. 2025년 6월 준공을 목표로 하며, 전체 선로 길이는 동부 140km, 서부 90km 등 총 230km다. 건설하는 철탑 수는 440기로 경북, 경기, 강원도 등 10개 시,군을 지난다. 1공구를 수주한 동부건설은 경상북도 울진군과 강원도 삼척시 일원에 철탑 38기와 약 19km 규모의 전력선 등을 시공할 계획이다. 한편 동부건설은 지난달 인천지역 전기공급시설 전력구 공사를 수주한 이후, 한 달 만에 연이어 전기 분야 공사를 수주했다.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금융위원회가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영업과 특화 보험회사의 출현이 가능하도록 허가정책을 정비하고, 화상통화 등 새로운 판매형태가 등장할 수 있도록 보험모집 규제의 디지털 적합성을 높이기로 했다. 금융위는 지난 21일 이 같은 내용의 '보험분야 규제개선 방안'을 발표하면서 동물보험 특화 등 상품별 특화 보험회사의 추가 진입도 전향적으로 허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방안은 보험분야의 낡은 규제를 개선해 보험산업의 디지털화 등 질적 혁신,성장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이에 선진적이고 혁신적인 상품개발과 자산운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타업권과 해외 대비 과도한 규제는 과감히 철폐할 방침이다. ◆ 디지털화에 따른 산업구조 개편 지원 디지털 시대에 걸맞는 경쟁,혁신을 선도할 특화 보험회사의 진입을 촉진하기 위해 '1사1라이선스' 허가정책을 유연화한다. 그동안 동일 보험그룹 내 생,손보 각 1개사만 진입이 가능한 '1사1라이선스'를 허가했으나, 앞으로 상품별 특화 보험회사가 추가로 진입하고자 할 때 이를 전향적으로 허가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속된 회사의 자회사 상품에 대한 모집을 허용하는 등 상품특화 보험회사에 대해서는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세계 최대 방송영상콘텐츠시장인 '밉컴(MIPCOM) 2022'에서 한류(케이) 콘텐츠가 전년 대비 2배 이상 규모의 수출 성과를 거뒀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달 17~20일 프랑스 칸에서 열린 밉컴 2022에 한국 기업 17곳이 참가, 64개 콘텐츠로 1664만 달러(약 220억 5000만 원) 규모의 수출 성과를 이뤄냈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올해 밉컴 행사에서는 전 세계 108개국 321개 방송영상콘텐츠 기업과 관계자 1만 896명, 구매자 3100명이 참가해 수출 계약과 리메이크 제작 등 다양한 상담을 진행했다. 한국에서는 역대 최다인 300명이 넘는 인원이 참가한 가운데 국내 방송사와 제작,배급사 등 기업 17곳이 63개 콘텐츠로 1664만 1800달러의 수출 성과를 이뤄냈다. 이는 전년 대비 105.9% 증가해 2배 이상의 성과를 낸 수치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589만 3543달러보다도 증가한 수치다. 특히 , 등 세계 콘텐츠 시장의 주류로 성장한 한류 콘텐츠의 브랜드 경쟁력이 수출 성과로 이어진 결과로 보인다고 문체부는 설명했다. 예능 형식과 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도 북미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에서 개발도상국의 '손실과 피해' 대응을 위한 기금 설립이 결정됐다. 환경부에 따르면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에서 열린 COP27은 당초 폐막일을 이틀 넘긴 지난 20일 최종합의문인 '샤름엘셰이크 이행계획(Sharm El-Sheikh Implementation Plan)'을 채택하고 폐막했다. 이번 총회에는 198개 당사국과 산업계, 시민단체 등에서 3만여 명이 참석했다. 우리나라는 한화진 환경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관계부처 공무원과 전문가로 구성된 정부대표단이 참석했다. 이번 총회는 극한 가뭄 등 지구온난화로 심각한 피해를 받고 있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개최했던 만큼 '적응', '손실과 피해' 등의 의제가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최대 쟁점으로 논의됐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손실과 피해' 대응을 위한 재원 마련 문제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채택 이후 30년 만에 처음으로 당사국총회 정식의제로 채택됐으며 당사국총회 기간 내내 치열한 협상을 거쳐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국가를 위한 기금(fund)을 설립하기로 합의했다. 또 '감축 작업프로그램' 운영, 전지구적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반도체 및 전자부품을 가장 다양하게 공급하며 업계를 선도하는 신제품 소개(NPI) 유통기업 마우저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 Inc., 이하 마우저)가 수상에 빛나는 '협업을 통한 혁신(Empowering Innovation Together™, 이하 EIT)' 프로그램의 2022년 마지막 시리즈를 발표했다. 마우저는 2022년 마지막 시리즈인 6차 EIT 시리즈를 통해 여러 산업에서 기능 개선과 첨단 애플리케이션을 이끌어 온 자율모바일로봇(AMR)의 최근 발전상을 검토할 예정이다. AMR은 1990년대에 도입된 이후 인공지능(AI), 컴퓨터 비전 시스템, 5G 커뮤니케이션에 힘입어 기술적 전환기를 맞았다. AMR은 제조업과 물류업에 새로운 수준의 유연성, 자율성, 유용성을 제공해 전반적으로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글렌 스미스(Glenn Smith) 마우저 사장 겸 최고경영자는 'AMR은 더 발전된 기술을 통해 공장 및 공급망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예상치 못한 단계로 끌어올린다'며 '독자와 시청자들이 EIT를 통해 ARM이 안전하고 지능적인 방식으로 운영을 간소화하는 방식을 더 자세히 파악했으면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건국대학교와 광운대학교 연구진으로 구성된 'NeuroK2연구회'가 뇌파 신호로 드론을 원격 조정할 수 있는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NeuroK2연구회는 첨단 미래 과학기술 연구 및 응용을 위해 건국대학교 윤광준, 강태삼 교수, 김정관 박사과정생, 강준구 연구원과 광운대학교 심상렬, 이범구 교수, 이구형 박사, 오장길 박사 등 연구진으로 구성됐다. 이 기술의 핵심은 인간의 뇌에서 발생하는 뇌파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 드론의 비행 통제시스템과 연동하는 기술이다. 뇌파를 활용해 원격으로 드론을 이륙시킨 후 제자리 정지비행(hovering), 고도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한다. 공동연구에서 드론의 무선통신 제어 분야는 건국대 윤광준 교수팀이, 뇌파 활용 제어의 휴먼-머신 인터페이스 기술 적용은 건국대 강태삼 교수팀이, 뇌파 데이터의 잡음제거와 신호변환 분야는 광운대 심상렬 교수팀이 각각 개발했다. 기술의 공개 시연도 진행한다. 연구팀은 11월 21일 오전 11시 건국대학교 공대 E동 1층에서 시연회를 진행한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된 뇌파(EGG)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의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은 SK스퀘어(대표이사 박정호), 하나금융그룹(회장 함영주)과 3대 영역에서의 초협력을 통해 ICT와 금융 산업 혁신에 나선다고 밝혔다. SKT와 하나금융그룹은 7월 4000억원대의 대규모 지분을 교환하고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후 SK스퀘어도 동참해 시너지 협의체를 구성하고, 3사의 주요 협력 사업 담당 임원이 참석해 여러 차례 만나는 등 ICT와 금융 전반을 아우르는 폭넓은 협력 추진을 위해 힘쓰고 있다. 3사는 △초협력을 통한 미래 공동 대응 △비즈니스 협력을 통한 새로운 고객 가치 창출 △사회적 가치 창출 협력을 통한 선한 영향력 확산이라는 3대 영역에서 다양한 과제를 도출하고 본격적인 협력 사업 추진에 나설 계획이다. ◇ 초협력으로 미래 공동 대응… Web3.0 투자, 가명 데이터 결합 등 추진 3사는 빠르게 변하는 ICT와 금융 산업 생태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미래 유망 영역에 대한 투자부터 인공지능(AI) 기술과 데이터 등을 활용한 혁신 사업 추진 등을 함께하는 데 뜻을 모았다. 3사는 Web3.0 생태계 확장과 대중화 추진을 위한 공동 투자를 진행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PassFab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사용자가 윈도 시스템 재설치 없이 데이터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는 마이그레이션 프로그램 'PassFab 4EasyPartition'을 출시했다. PassFab 4EasyPartition은 윈도 운영 체제 및 응용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할 필요 없이 클릭 한 번으로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보통 새로운 PC를 사용하려면 번거롭게 운영체제와 응용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PC를 오랫동안 사용한 후에는 새 PC로 옮기고 싶은 파일이 많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런 경우 PassFab 4EasyPartition을 사용하면 운영 체제 및 응용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설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새 PC로의 마이그레이션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하던 하드 드라이브의 용량이 부족할 때, 더 빠른 운영체제 작업 속도를 위해 SSD로 마이그레이션이 필요할 때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긋지긋한 노트북의 작은 용량에서 벗어나 더 큰 용량의 HDD/SDD으로 업그레이드를 할 때도, 운영 체제를 처음부터 다시 설치할 생각에 고민했다면 PassFab 4EasyParti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LG전자 온라인 공식 인증점 혜지시스템(대표 이문형)은 △나노 IPS 블랙 디스플레이 탑재 △명암비 2000:1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 기능 지원 △다양한 연결 포트 지원 등을 통해 더 강력해진 LG 4K 모니터 32UQ850W 32인치 모델과 27UQ850W 27인치 모델을 11월 21일 새롭게 선보인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두 제품은 기존 출시된 4K 모니터와는 달리 4K UHD(3840×2160) 고화질의 나노 IPS 블랙 디스플레이에 4K 콘텐츠 표준인 DCI-P3 98%와 고정 명암비 2000:1이 적용돼 블랙 색상을 더 블랙에 가깝게 표현하고 색상 표현력을 더욱 높여줌으로써 2D, 3D 작업 전문가 및 크리에이터를 위한 모니터로 매력을 더 향상한 모델이다. LG 4K UHD 모니터 2종 모두 캘리브레이션 소프트웨어인 LG Calibration Studio와 별도의 캘리브레이터를 이용하면 나노 IPS 블랙 4K 디스플레이만의 컬러를 더 정확하고 바르게 표현할 뿐 아니라, 그 컬러를 꾸준히 유지할 수 있다. 또 △USB C타입 △DP 포트 △HDMI 2개 △USB 3.0 2개 등의 포트를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강희준, 이하 충남센터)가 11월 28일(월) 제36회 충남창업포럼을 개최하고, 참가자를 모집한다. 제36회 충남창업포럼은 '스타트업 법률과 특허'를 주제로 11월 28일 오후 4시부터 충남창업마루나비 이벤트홀에서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운영할 예정이다. 강연자는 '법무법인 미션 MISSION'의 김성훈 대표 변호사와 김지훈 파트너 변호사며, '공동창업자 분쟁 예방'과 '스타트업의 특허 창출과 관리'를 주제로 강연을 각각 진행한다. 강연 종료 후 강연자와 참가자 간 강연과 관련된 자유롭게 질의응답을 할 수 있는 토크콘서트를 진행한다. 포럼 종료 후에는 간단한 음식과 함께하는 오프라인 참가자 네트워킹 시간도 마련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충남센터 보육기업과 스타트업 법률 및 특허에 관심 있는 도내 예비 및 초기 창업자를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참가 신청은 포스터의 QR코드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충남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충남센터 창업기반실로 문의하면 된다.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삼성전자가 구글 안드로이드13을 적용한 갤럭시 소프트웨어 플랫폼 'One UI 5'의 업데이트를 다양한 모바일 라인업에 확대 실시한다. One UI 5는 사용자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모바일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맞춤 설정 기능을 강화하는 동시에 사용성과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업그레이드한 것이 특징이다. 주요 기능으로는 △통화 중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거나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해주는 '텍스트로 전화 받기' △사용 환경과 활동에 따라 미리 설정한 동작이나 설정을 자동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 및 루틴' 등이 있다. ◇ 갤럭시S,Z,A와 탭S 시리즈 등 순차 업데이트 삼성전자는 17일부터(국내 기준) 올해 8월 출시한 갤럭시 Z플립4, 폴드4의 One UI 5 업데이트를 시작했다. 이전에 출시된 Z플립 시리즈, Z폴드2,3 등 폴더블 제품들도 모두 연내 업데이트가 완료될 예정이다. 갤럭시 S 시리즈의 업데이트도 확대 적용된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24일 갤럭시S22 시리즈부터 One UI 5의 정식 배포를 시작했으며, 지난해 출시한 S21 시리즈는 8일부터 업데이트를 시작했다. S20 시리즈와 갤럭시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기아가 지난 1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LA 컨벤션 센터(LA Convention Center)에서 개최된 '2022 LA 오토쇼' 사전 언론 공개 행사 '오토모빌리티 LA(AutoMobility LA)'에서 북미에 '더 뉴 셀토스'를 처음 공개하고 'EV6 GT'의 본격 출시를 알렸다. '더 뉴 셀토스'는 2019년 출시된 셀토스의 첫 상품성 개선 모델로, 7월 부산 국제모터쇼에서 공개된 차량이다. 도시적인 세련미를 더한 디자인에 차급을 뛰어 넘는 성능과 다양한 안전 및 편의사양을 대거 탑재해서 북미에서도 그 인기를 이어갈 예정이다. 북미 시장 출시는 내년 상반기로 계획하고 있다. 'EV6 GT'는 10월 국내 출시한 모델로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한 EV6의 고성능 버전이다. EV6 대비 성능을 대폭 높인 모터와 고출력 배터리를 조합해 역대 최고 수준의 동력성능을 확보한 것이 특징으로 북미 고객들에게도 역동적인 주행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본격적인 고성능 전기차 시대를 열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미래적 감성이 돋보이는 디자인, 우수한 주행 성능, 첨단 사양까지… 삼박자 갖춘
청년나우 편집국 기자 | 3D 시스템즈가 사무실,병원 등 작은 공간에서도 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합리적 가격대의 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선택적 레이저 소결) 방식 3D 프린터를 전 세계에 공급한다. 3D 시스템즈는 스웨덴 3D 프린터 제조업체 Wematter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SLS 방식 3D 프린터 'Wematter Gravity'를 전 세계에 독점 공급한다고 18일 밝혔다. Wematter는 2020년에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 시장에 합리적 가격대의 SLS 3D 프린터 Wematter Gravity를 출시한 바 있다. 이 제품은 작은 공간에서도 장비를 설치하고 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작은 설치 공간(0.7m×0.7m×1.5m)은 일반적인 SLS 3D 프린터 대비 1/3의 공간만 필요로 하지만, 큰 제작 크기(300㎜×300㎜×300㎜)는 전체 작업을 24시간 안에 완료할 수 있다. 또 사무실, 병원 및 실험실에서 자동차, 소비재 및 의료 부품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응용 분야의 생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CE 인증을 받았다. Gravity는 표준 전원과 이더넷 연결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