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꿀벌을 찾습니다' 양봉업자 시름, 속출하는 농가 피해
청년매일 허창영 기자 | "꿀벌이 사라지면 인간은 고작 4년 더 생존할 수 있다" 세계적인 과학자 아인슈타인의 명언이다. 이 말이 최근 농업계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최근 꿀벌의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농촌진흥청과 한국양봉협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폐사한 꿀벌은 39만 봉군, 약 78억 마리로 전체 사육 꿀벌의 16%에 달한다. UN에서는 2017년부터 5월 20일을 '세계 벌의 날'로 지정했을 정도다. 특히 최대 양봉지역인 경상북도의 양봉업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3일 경북도청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경북도 꿀벌사육 현황도 4천716호 53만9천 봉군이었으나, 월동 이후 올 3월에는 32만5천 봉군으로 40%가 감소했다. 이러한 꿀벌 실종의 원인으로는 이상기후가 지목된다. 우리나라는 전 지구의 평균 온난화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온난화가 진행 중인데, 온난화 상황에서는 기상 변동성이 커지고, 봄철 기온의 널뛰기가 심해져 꿀벌들이 얼어 죽게 된다. 계명대학교 김해동 교수는 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상기후로 인해 봄꽃이 빨리 피게 되면 벌들이 활동을 시작하는데 꽃샘추위나 날이 다시 추워지게 되면 벌들이 얼어